0120 | 스프링의 정석 :: 3-5 (SPRING DI 이론 1)
SPRING DI 이론 1 1. bean이란? [복잡] Java Beans - 재사용 가능한 컴포넌트, 상태 (iv), getter & setter, no-args constructor 👇 [간단] Servlet & JSP bean - MVC의 Model (데이터 전달 목적), EL, scope, JSP container가 관리 (Jsp
ala-nueva.tistory.com
▲ 위에서 이어지는 강의
5 ApplicationContext의 주요 메서드
✔ root-application context를 컨트롤러에서 얻어오려면 이 두줄이 있어야 한다
public String home(Locale locale, HttpServletRequest request, Model model) {
// 원래는 request.getServletContext()지만, 컨트롤러는 HttpServlet을 상속받지 않아서 아래와 같이 해야함.
ServletContext sc = request.getSession().getServletContext(); // ApplicationContextFacade
WebApplicationContext rootAC = WebApplicationContextUtils.getWebApplicationContext(sc); // Root AC
✔ servlet-application context는 객체를 만들어서 주입 받을 수 있다.
public class HomeController {
@Autowired
WebApplicationContext servletAC; // Servlet AC
✔ 서버실행시 아래와 같이 초기화 로그가 뜬다면, 맞게 진행된 것.
INFO : org.springframework.web.context.ContextLoader - Root WebApplicationContext: initialization started
...
INFO : org.springframework.web.servlet.DispatcherServlet - FrameworkServlet 'appServlet': initialization completed in 3959 ms
실행이 잘 안된 경우 각 xml파일들이 문제가 있을 수 있음.
'🔥 Vamos > 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0121 | 스프링의 정석 :: 3-8(SPRING DI 이론 4) (0) | 2023.01.21 |
---|---|
0121 | 스프링의 정석 :: 3-7(SPRING DI 이론 3) (0) | 2023.01.21 |
0120 | 스프링의 정석 :: 3-5 (SPRING DI 이론 1) (0) | 2023.01.20 |
0116 | 스프링의 정석 :: 3-4 (config.xml 실습) (0) | 2023.01.16 |
0115 | 스프링의 정석 :: 3-3 (by Name, by Type/ @Autowired / @Resource) (0) | 2023.01.15 |